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가족치료-2. 가족상담의 이론(1): 가계도, 가족지도, 스캐폴딩 지도

가족상담의 이론(1): 가계도, 가족지도, 스캐폴딩 지도 CASE STUDY

가족상담의 이론(1): 가계도, 가족지도, 스캐폴딩 지도 CASE STUDY

📊 비교 요약

 

도구 관련 이론 초점 주요 용도
가계도 보웬 이론 세대 간 정서 흐름 삼각관계, 분화, 가족투사 분석
가족지도 구조적 가족치료 가족 내 구조와 경계 연합/차단, 위계, 하위체계 파악
스케폴딩지도 이야기치료 자기 서사의 재구성 문제 외재화 → 대안 이야기 형성
 

✅ 1. 가계도 (Genogram)

 

  • 🧠 이론적 배경: 보웬의 가족체계이론
  • 📌 목적:
    • 세대 간 정서 패턴, 가족의 관계 구조를 분석
    • 삼각관계, 분화 정도, 가족투사 과정 등을 파악
  • 🛠 특징:
    • 최소 3세대 이상
    • 관계선(갈등, 친밀, 우호 등)을 통해 정서 흐름을 시각화

 

🔸 성별 및 기본 기호

  • 사각형: 남성
  • 원형: 여성
  • 색이 채워진 도형 or X표시: 사망
  • ◎ 이중선 = 내담자 (IP)
  • ◐ 신체질환 or 정신질환, ▤ 중독은 수평으로 절반을 검정색으로 칠함

🔸 가족 구성 관계

  • 가로 직선(—): 결혼 또는 부부 관계
  • 이중 직선(═): 법적 결혼, =||= : 이혼, =|= 별거
  • 관계선: ㅡ 우호   ══ 밀착, 친밀  ≡ 또는 ≣ (세 줄): 융합
  • 지그재그 선(W): 갈등, 고통, 불화 (보통 ‘갈등 관계’를 의미)
  • 점선(…...): 정서적으로 단절됨, 접촉 없음
  • 삼각형 연결: 정서적 삼각관계 (보웬 이론에서 매우 중요)
  • 💬 예: “내담자가 어머니와 과하게 밀착된 이유가 외할머니와의 삼각관계 때문이구나.”

[Case1]

<IP 가족관계> 부모단절, 1남1녀 중 장녀 사망
- IP부 : 알콜중독, IP와 단절
- IP모: 오빠와 딸 사망으로 IP와 밀착 심함

<부계> 부모 이혼, 1남3녀, IP부 중심 삼각관계
- IP 조부: 신체 or 정신질환 + 중독, IP부와 단절
- IP 조모: IP부 밀착

<모계> 부모갈등, 1남2녀, 장남 사망, IP모 중심 삼각관계
- IP 외조모: 사망한 큰아들과 밀착, IP모와 단절
- IP 외조부: IP모와 우호

[Case2]

<IP가족관계> 재혼부부, 계부+이복여동생, 동복남동생
- IP모: 남편 사별 후 재혼, 알콜중독, IP와 밀착, 의붓딸과 갈등
- IP 계부: 이혼 후 재혼, IP와 단절
- IP 이복여동생: 친모 단절, IP and IP모와 모두 갈등

[Case3]

<IP 가족관계> 부모단절, 외동, 삼각관계
- IP부(알콜중독) : IP와 단절
- IP모 - IP와 밀착

<부계> 부모갈등, 1남1녀, 친부 중심 삼각관계
- 친조부(알콜중독) : IP부와 단절
- 친조모: IP부와 밀찰, 융합

<모계> 부모이혼, 1남 2녀, 장녀 사망, 친모 중심 삼각관계
- 외조부: IP모와 융합
- 외조모: IP모와 갈등

 

 


✅ 2. 가족지도 (Family Map)

 

  • 🧠 이론적 배경: 구조적 가족치료 (미뉴친)
  • 📌 목적:
    • 현재 가족의 구조, 하위체계, 경계, 연합/차단 등을 파악
    • ‘누가 누구랑 가깝고’, ‘권력은 누구에게 있는가’를 분석
  • 🛠 특징:
    • 현재 시점의 가족 구성만 반영
    • 시각적으로 가족 간 거리, 위치, 경계선을 그림

 

🔸  이미지 기호의 의미

  • 괄호 {}: 가족 내 하위체계(subsystem)를 묶어 표현
  • 점선 (·····): **경계가 모호(enmeshed)**한 상태
  • 사선 (/): 경직된 경계(rigid) 또는 단절된 관계
  • 💬 예: “모자가 밀착되어 있고, 아버지가 소외되어 있네.”

[Case]

모 - 자녀: 연합, 경계모호(...) 위계구조 형성( } )

계부: 차단 단절, 경직된 경계 ( / ), 모-자녀와 분리된 위치

 

 


✅ 3. 스케폴딩 지도 (Scaffolding Map)

 

  • 🧠 이론적 배경: 이야기치료 (Narrative Therapy)
  • 📌 목적:
    • 내담자가 문제를 외재화하고, 새로운 정체성 서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질문을 구조화
    • 내담자의 자기서사 형성 과정을 시각적으로 안내
  • 🛠 특징:
    • 대화 흐름 자체를 지도처럼 정리
    • ‘문제 이야기 → 저항 이야기 → 대안 이야기’로 전개되는 방식
  • 💬 예: “내가 이 문제에 영향을 받긴 하지만, 그것이 곧 내가 아니라는 걸 알게 됐어요.”

 

 

문제. 다음 이야기치료의 스캐폴딩(scaffolding) 지도에서 각 번호에 대한 질문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• ① 1: 당신은 무엇을 중요시했기에 그런 행동을 하게 되었나요?
  • ② 2:약자를 도와야 한다는 생각으로 또 어떤 일을 했나요? → 가치, 잠재력 자각용 질문이 되어야 함
  • ③ 3: 만일 그렇게 한다면 당신은 어떤 모습의 사람일까요?
  • ④ 4: 그런 바람대로 한다면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요?
  • ⑤ 5: 당신 삶에서 무엇을 중요시한다고 할 수 있을까요?